[토요판] 그림책 작가들의 ‘돌파하는 힘’
(2) 소윤경
(2) 소윤경
“당위 그대로 수용한다는 건
새롭게 인식하지 않겠다는 뜻”
거대한 애벌레, 박쥐, 해골…
서늘하고 낯선 특유의 그림책
육식과 동물의 무자비한 죽음
여행과 보금자리 잃은 원주민
생의 부조리 숨김없이 담아내
그림책의 ‘안전하고 무난한’ 영역을 벗어나 있는 작가, 소윤경. 배제와 거절에 대한 두려움을 딛고 자기를 표현하고 싶은 이들에게 그가 말한다. “잘못된 이유를 자기 자신에게서 찾는 습관을 버리세요. ‘이렇게 행동해야 하지 않을까?’라는 부담과 ‘뭔가 느낌이 이상한데?’라는 직감의 목소리가 갈등할 때, 자신의 직감을 선택해보시길.” 사진=해란 작가
• 작가 소개 홍익대에서 회화를 공부하고 파리국립8대학에서 조형예술을 전공했다. 그림책과 순수미술을 병행하며 2018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콤비> 원화를 전시하기도 했다. 탄탄한 데생 기본기 덕에 표현이 풍성하고 밀도 높은 연필 세밀화에 능하다. 기성 출판계의 금기에 도전하는 그림책 <레스토랑 Sal>, <콤비>, <호텔 파라다이스>를 출간하며 고유한 입지를 다졌다. • 작품 목록 2009년 <내가 기르던 떡붕이>, 시공주니어 2013년 <레스토랑 sal>, 문학동네어린이 2015년 <콤비>, 문학동네 2018년 <호텔 파라다이스>, 문학동네 2020년 <호두나무 작업실>, 사계절
<콤비> 표지
질문하는 사람, 자신을 믿는 사람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에 살았던 유년기 기억이 작가님이 자연을 대하는 태도의 근간이 되었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삼형제 중 둘째인데, 부모님 사정으로 네 살부터 일곱 살까지 외가에서 살았어요. 그때는 솔직히 버려졌다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또래 친구 하나 없는 산골이었지만, 개, 소, 닭, 돼지 등 온갖 동물이 많았어요. 송아지와 어미 소를 강가로 끌고 가서 물을 먹이고 묶어놓곤 했는데, 제가 고삐를 쥐고 뛰기 시작하면 송아지가 뛰고, 그다음 어미 소가 같이 뛰어요. 그러면 ‘아, 우리는 한 팀이구나’ 하는 따뜻한 느낌이 몰려왔어요.” ―작가님 책 <콤비>가 생각나는 장면이네요. 벼랑 끝 상황에서 인간과 비인간이 기대어 마음을 나눈다는 설정 말이지요. “인간의 본질은 늘 누군가에게 기대야 한다는 데 있어요. 제가 아무래도 인간보다는 동물을 더 믿나봐요.(웃음) <콤비>에 등장하는 애벌레, 박쥐, 거미 등은 모두 외양이 인간과 아주 달라요. 우리는 외양이 다른 이질적 존재를 쉽게 악인화하고 배척해요. 저희 어머니가 6·25전쟁 때 흑인을 처음 보고 낯설고 무서워서 혼비백산하셨대요. 여러 인종의 외양에 익숙해진 요즘은 흑인을 보고 잘생겼다고 이야기하실 정도가 되었지요. 뱀이나 곤충도 마찬가지예요. 낯설다는 이유로 함부로 단순화하고 배척하는 거예요. 하지만 뱀도 자세히 보면 귀엽게 생겼고, 자신을 예뻐하는 사람을 알아봐요. 자기를 좋아하고 싫어하는 사람을 육감적으로 느끼는 강아지와 비슷하지요.” ―작가님은 ‘어린이=순수하다’, ‘뱀=징그럽다’ 같은 관습적 도식을 유독 못 견뎌 하는 것 같아요. “자라는 내내 사회의 평균치에 맞게 살라는 강요를 많이 당했어요. 딸이니까, 여자니까, 어리니까 같은 말로요. 어릴 때 제가 그림을 곧잘 그리니 부모님이 학원에 보내주셨어요. 티브이(TV) 프로그램 ‘동물의 왕국’에서 본 동물들을 자주 그렸는데, 선생님이 “어린애가 어른처럼 그리면 안 된다”고 혼을 냈어요. 인형처럼 귀엽게 눈, 코, 입을 그려야 어린이다운 그림이라는 거예요. 말도 안 되는 발상이지요? 그런데 가만히 보세요. 요즘도 많은 어린이책이 세계를 도식적으로 그려내요. 도식을 취한다는 건 그것에 대해 더 이상 생각하지 않겠다는 뜻이에요. 에너지를 들여가며 대상을 바라보고 새로이 인식하지 않겠다는 거지요. 저는 아이들에게 도식을 배반하는 그림을 보여주고 싶어요. 작가 자신의 눈으로 바라본 결과를 그려내는 그림을 아이들이 더 많이 보았으면 해요.”
소윤경 작가가 연필 한 자루로 그려낸 놀라운 밀도의 세밀화 안에서 그간 ‘비호감’으로 치부되었던 생명들은 새로운 지위를 획득한다. 사진=해란 작가
사진=해란 작가
사진=해란 작가
사진=해란 작가
사진=해란 작가
사진=해란 작가
예술이 어떻게 생활보다 숭고해? ―홍익대 회화과를 졸업한 뒤 파리 유학 시절에 자폐적인 현대 미술에 회의감이 드셨다고요. “파리국립8대학에서 공부했는데, 학교 수업이 없을 때는 늘 퐁피두 센터에 가서 공연을 보거나 강연을 들었어요. 10여년 동안 미술을 공부한 저조차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말들이 넘쳐나더군요. 현대 미술은 예술을 위한 진보에 골몰하느라 세계와의 소통은 뒷전으로 밀어두었지요. 하지만 원래 화가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그림을 생산하는 사람이었어요. 근대 이전까지는 늘 실용적 목적에 복무했지요. 화가의 원래 역할로 살아가겠다 결심하고 한국으로 돌아와 일러스트레이터 활동을 시작했어요.” ―권위자가 설정해 둔 위계는 당연하게 수용돼요. 대학에서 순수 예술-응용 예술, 순수 문학-장르 문학을 구분하면 정설이 되고 제도가 되는 식이죠. 제도가 된 위계를 무시하기란 꽤 어려운데, 작가님은 어떻게 그걸 뛰어넘을 수 있었나요? “지금은 편하게 회고할 수 있지만, 저 역시 내면화한 위계로부터 놓여나기 쉽지 않았어요. 순수 회화에서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넘어온 30대에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느꼈어요. 정체성이 변할 때 오는 어지럼증을 매일 느꼈지요. 40대에 경기도 양평으로 오면서 마음이 많이 고요해졌어요. 화가는 몸이 도구예요. 손이 떨리면 그림을 그릴 수 없지요. 40대가 되고 보니 건강한 신체로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안 남았더라고요. 장르에 연연치 말고 작가로서 하고 싶은 이야기에 집중하자고 결심했어요. 그 뒤로 온전히 제 내면의 목소리를 따라 <레스토랑 Sal>, <콤비>, <호텔 파라다이스>를 만들었고요. 무엇보다 저는 예술이 생활보다 숭고하다는 말을 믿지 않아요. 저는 열심히 일하고 정당히 돈을 벌어 세금 내는 화가라는 직업인이고 싶어요. 세상에는 작은 도장 하나를 파면서도, 요리 한 접시를 내면서도 그 안에 자기만의 의미를 부여해 아름답게 결과물을 만드는 많은 직업인이 있어요. 미술이나 음악만 예술이 아니에요. 그들이 다 예술가예요.” ―안전하고 무난한 영역에 머물고 싶은 이유는 배제나 거절이 두려워서일 거예요. 자기표현을 어려워하는 사람에게 어떤 조언을 들려주고 싶으신가요? “잘못된 이유를 자기 자신에게서 찾는 습관을 버리세요. 생각이 흘러가는 대로 가만히 두면 내가 부족했고 비호감이어서 거절당했다는 식의 자기비판으로 귀결되거든요. 그런데 성공과 실패는 결국 운이더라고요. 또 나를 이유 없이 싫어하는 사람과 이유 없이 좋아하는 사람은 언제나 일정 비율로 존재해요. 그들은 내가 무슨 짓을 해도 반대하거나 지지할 거예요. 제 의견이나 작품을 누군가 탐탁지 않아 하면 이렇게 생각해요. ‘아, 당신은 그렇게 생각하시는군요. 알겠습니다. 받아줄 사람도 있으니 저는 괜찮습니다’라고요.”
사진=해란 작가
사진=해란 작가
사진=해란 작가
▶ 최혜진. 사람을 인터뷰하는 에디터이자 미술과 문답한 과정을 글로 쓰는 작가. <그림책에 마음을 묻다>, <우리 각자의 미술관>, <유럽의 그림책 작가들에게 묻다> 등을 썼다. 삶에 위로를 받고 싶을 때면 늘 그림책이 곁에 있던 것을 생각하며, 한국의 그림책 작가들과 ‘세상을 돌파하는 힘’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한다. 격주 연재.
October 25, 2020 at 07:15AM
https://ift.tt/31GsVzU
어린이=오직 귀엽고 순수한 존재? 먼저 깨줄게요, 그 등식 - 한겨레
https://ift.tt/2XUmXd9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어린이=오직 귀엽고 순수한 존재? 먼저 깨줄게요, 그 등식 - 한겨레"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