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디지털 자산은 오프라인에 비해 낮은 가치 평가를 받아왔다. 콘텐츠는 너무 쉽게 복제되고 이를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디지털 세계가 활성화되며 디지털 자산에 관한 시선이나 평가가 달라졌고 콘텐츠의 소유권을 가리기 위한 고민이 깊어졌다. 이에 진품과 위조품을 가리고 소유권을 주장하며 거래까지 가능한 '권리 증명서' NFT가 등장한 것이다. 초기 NFT 시장은 기존 예술 작품을 디지털화하고 고윳값을 붙여 온라인 진품이라는 이름으로 토큰 거래해왔다. 하지만 점차 디지털 콘텐츠로 확장되었고 게임·예술·부동산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게 됐다.
연예기획사들이 NFT에 눈을 돌리는 건 엔터업계와 팬덤세대가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음반, 공연, 소속 연예인 출연료 등으로 수익을 창출해왔던 연예기획사들이 아티스트와 팬덤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을 벌이고 있고 직접 콘텐츠 제작까지 도맡으며 종합 엔터사로 거듭나고 있다. 게다가 Z세대를 중심으로 메타버스 문화가 빠르게 자리 잡고 있어 디지털 콘텐츠나 수익 등이 중요해졌고, 고유성과 희소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팬덤 심리와 닿아 있는 NFT에 주목하게 된 것이다.
지난 11월 4일 하이브 방시혁 의장은 사업설명회에서 아티스트 IP와 NFT가 결합한 팬덤 기반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날 예로 든 것은 바로 '포토 카드'였다. 최근 아이돌 팬덤 사이에서는 실물 음반을 구매하고 구성품으로 아티스트의 포토 카드를 수집하는 것이 유행이다. 원하는 그룹 구성원의 포토 카드를 얻기 위해서 수십, 수백 장의 음반을 구매하는 모습도 어렵지 않게 목격할 수 있다. 하이브는 이를 두고 한정판 포토 카드를 NFT 기술로 디지털 가산화해 자산 플랫폼 위버스를 통해 수집하거나 교환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디지털 기술에 따라 포토 카드에 영상이나 음성 등까지 추가할 가능성도 있다고 부연했다.
뿐만 아니라 NFT의 안정성과 탄소배출 등 환경문제 등에 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연예기획사들이 NFT 사업에 열을 올리고 계속해서 몸집을 부풀리고 있지만 아직은 팬덤 등 소비자에게 NFT의 신뢰를 심어주기란 어려워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및 더 읽기 ( [문화에 스며든 NFT] 엔터는 주목하는데…팬들은 왜 달갑지 않을까? - 아주경제_모바일 )https://ift.tt/3yhLSIf
문화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문화에 스며든 NFT] 엔터는 주목하는데…팬들은 왜 달갑지 않을까? - 아주경제_모바일"
Post a Comment